-
Route 53 콘솔로 들어가 [Hosted zones] -> [Create Hosted Zone]을 클릭
-
Domain Name에 이전에 발급받은 도메인을 기입, [Create]를 클릭
-
NS 타입과 SOA 타입의 레코드 셋이 생성 확인. NS는 네임 서버 레코드, SOA는 권한 시작 레코드 [Create Record Set]을 클릭
- Name: 서브 도메인 네임 입력. Root 도메인을 사용할 경우 비워둠
- Type: A레코드를 선택하기 위해 ‘A – IPv4 address’ 선택
- Alias: ‘No’ 선택
- TTL: 도메인 이름의 caching 시간 설정. 기본 값 사용
- Value: 여기에 Elastic IP(고정 IP) 입력
앞서 설정은 root 도메인 chhak.co.kr 에 대한 것이라서, www.chhak.co.kr 경우 접속이 되지 않음. www 추가 시 접속되도록 설정하는 방법
Route 53 화면에서 [Create Record Set] 클릭 ㆍName : 이번에는 서브도메인명으로 ‘www’ 입력 ㆍType : ‘CNAME – Canonical name’을 선택 ㆍValue : 이번에는 IP가 아니라 A레코드에 사용한 루트 도메인 이름을 입력
[Create] 클릭